top of page

Korea Grand Strategy Institute

The Next-Right Movement
Next-Right
Movement

- 성장은 보수의 핵심 가치

- 능력 주의, 공평 주의, 효율성 우선주의

- 자유민주주의 진영의 생산 기지 플랫폼 역할

- 초대규모 생산 기반 시설 운영, 제조 OEM

- 저부가가치를 중부가가치 산업으로...

- 최고의 가성비 인프라 제공(전기, 용수, 폐수처리, 물류, 토지 비용, 은행 대출 등)

- 하나의 아이디어로 창업 가능한 환경 구축

- 관련업종 생태계 구축으로 최고 가성비 부품 조달

- AI, 로봇, 자동화 시설로 최소 인건비 환경 구축

비전/목표
성장, 글로벌 넘버 3 지향

1

국민을 부유하게!

나라를 강건하게!

- MKGA(막가, 조응천) / MAGA / MASGA

슬로건
부국강국

2

- 대단위 국가 산업 단지 조성

- 전기, 용수, 수처리 등 기반 시설 지원

- 글로벌 인력 생태계 순환 네트워크 구축

- AI, 로봇, 자동화 등 자급 자족 기술 지원

- 부품 생태계 조성하여 최고의 가성비 추구

How?
4차산업과 제조업 

3

- 보수 : 역사, 정치, 경제, 이민

- 문화 운동 : 잘못된 부분 반성에서 출발하여 잘한 부분으로 빌드업 프로세서

보수란? / 문화 강국

4

- 자본주의 + 자유민주주의

- 공산주의 + 인민민주주의

- 사유 재산 인정, 거주 이전의 자유, 직업 선택의 자유

- 개인의 자유에 기반, 공공의 이익 추구

철학
​자유민주주의 + 자본주의

5

- 국가자본주의

- 제국 경영 2.0

- 세계 경영 2.0

- 영토 대신 네트워크 연합

- 한국 제조 플랫폼 + 네트워트 국가 인력 

- 박정희 

- 김우중(세계 경영, 자동차, 건설), 정주영(건설, 조선, 자동차), 이병철/이건희(전자, 반도체), 박태준(제철), 구인회(전자), 유일한(제약)

전략
제국 경영 전략

6

Image by Stephanie Nakagawa

정영길

한국대전략연구소 사무처장

수도권으로 북상하는 반달가슴곰 (Feat. 환경부)

대한민국에서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던 1997년 지리산 일대에 소수의 반달가슴곰이 자연 서식한 다는 것이 알려진 후, 개체수 복원을 위해 러시아 연해주, 북한, 중국 등에서 서식하는 반달가슴곰을 도입하여 방사하면서 반달곰 복원 사업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정착에 실패하는 듯 했으나,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지금은 안정적으로 숫자도 늘어나고 개체간 번식도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살아가는 반달 가슴곰의 개체수는 100여 마리로 추정되고 있지만, 정확한 숫자는 알지 못한다. 초기 방사된 곰이 새끼를 치고 있기 때문에 정확한 개체 추적이 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정책위원 명단 >

​대표

유재일

작가, 정치평론가

유재일_edited.jpg

위원

정용훈

카이스트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교수

정용훈_edited_edited.jpg

위원

최안나

강릉의료원 원장, 소아과 의사

최안나_edited.jpg

위원

이병훈

대구대교구 신부, 포항들꽃마을 원장

이병훈_edited_edited.jpg

위원

박대성

푸른돌고래 센터장

박대성_edited.jpg

위원

김슬기

비노조택배기사연합 대표

위원

정영길

사무처장

[복사본] 제목을 입력하세요 (1).png
제목을 입력하세요 (9).png
제목을 입력하세요 (11).png
Check back soon
Once posts are published, you’ll see them here.
[복사본] 제목을 입력하세요 (1).png

산업 / 에너지

국제 / 정치

의료 / 복지

​사회 / 예술

Follow me on #Favoritethings

이미지 제공: Matthias Wagner

​아카데미

알림

[모집 종료] 10.25 (3강) 믿음이란 무엇인가? 대한민국을 휩쓰는 사이비 정치와 종교.

2025년 8월 13일

공지

[모집 중] 11.15 (2강) 패권 쟁탈사 시리즈 :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임진왜란 직전 스페인 총리에게 뭐라고 통보했을까?

2025년 9월 10일

공지

[알림] 대항해시대 제품 발표

2025년 10월 1일

bottom of page